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8

실처럼 강하다, 강철도 섬유처럼 짠다 목차다리도 실로 짜는 시대강철을 섬유처럼 쓰는 이유실이 된 강철, 실이 되는 섬유 겨우 몇 줄의 케이블이 6차선 도로를 지탱하고 있다는 사실, 믿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무게는 수만 톤에 달하고, 길이는 수 킬로미터에 이르는데, 그 모든 하중이 단 몇 줄에 걸려 있습니다. 하지만 이 줄은 단단한 강철이 아닙니다. 의외로, 거대한 실이라고 부르는 게 더 정확합니다. 건축과 섬유는 멀리 떨어진 분야처럼 보이지만, 그 뿌리는 ‘섬유’라는 개념 하나로 연결됩니다. 다리도 실로 짜는 시대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현수교 중 하나인 금문교는 두 줄의 케이블에 전체 구조가 매달려 있습니다. 이 케이블의 직경은 약 1미터에 가까우며, 단단한 쇠파이프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수만 가닥의 강철선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이 케이블.. 2025. 5. 3.
겨울을 지배한 가짜 양모, 후리스의 비밀 목차얇은데도 따뜻한 이유는?보온은 물질이 아니라 구조다겨울 옷장의 필수템, 플리스의 설계적 장점겨울이 되면 묵직한 외투 대신 가볍고 부드러운 플리스를 찾게 됩니다. 패딩처럼 부풀지도 않고, 코트처럼 무겁지도 않지만 어딘가 포근하게 몸을 감싸줍니다. 실내에서도 벗지 않고 앉아 있을 수 있고, 가끔은 이걸 입은 채로 그대로 잠들기도 합니다. 이토록 편하고 따뜻한 옷이 어떻게 가능할까요? 얇은데도 따뜻한 이유는?사람들은 종종 ‘두껍고 무거운 옷이 따뜻하다’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오래된 울코트나 가죽재킷은 그런 이미지를 갖고 있습니다. 하지만 요즘의 겨울 옷은 다릅니다. 특히 플리스처럼 얇고 가벼운 옷이 예상 밖의 보온력을 보여줍니다. 이유는 단순합니다. 플리스는 ‘무게’보다 ‘공기’를 다룹니다. 섬유 사이에 .. 2025. 5. 2.
민소매는 겨울에 입는 게 더 좋다 피부와 옷 사이, 숨겨진 불쾌함의 정체친수성과 소수성, 체감 쾌적함을 좌우한다겨드랑이 문제, 민소매는 답이 아니다실내와 실외, 습도 차이에 따른 착용 전략민소매 내의는 겨울에 빛난다 피부와 옷 사이, 숨겨진 불쾌함의 정체 여름에 어떤 옷은 입자마자 끈적이고, 어떤 옷은 신기하게도 쾌적하게 느껴집니다. 이 차이의 핵심은 바로 피부와 옷 사이에 생기는 습도입니다. 인체는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끊임없이 수증기를 내보냅니다. 이 수증기가 피부 근처에 머물면서 습도를 높이고,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불쾌감을 유발하는 것이지요. 특히 습도가 50%를 넘어가면 대뇌는 즉시 '덥고 불편하다'고 인식합니다. 이때 옷의 역할이 매우 중요해집니다. 어떤 소재를, 어떤 형태로 입느냐에 따라 피부 근처 습도는 극명하게.. 2025. 5. 1.
따뜻함을 결정짓는 모피의 비밀 모피는 단열재인가, 방수막인가?옛날 사람들은 모피를 어떻게 입었을까?털의 구조가 주는 물리적 효과모피 방향에 따른 실제 실험 결과미래 섬유 기술과 모피의 재해석 모피는 단열재인가, 방수막인가?모피는 단순히 따뜻하기만 한 소재가 아닙니다. 본질적으로 모피는 동물이 외부 환경으로부터 몸을 보호하기 위해 진화한 복합 시스템입니다. 털이 제공하는 것은 열 차단뿐 아니라 비, 눈, 심지어 자외선으로부터의 보호까지 포함됩니다. 따라서 모피는 자연이 만들어낸 최고의 다기능 방어막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외부의 습기를 막고 내부 체온은 유지하는 기능은 오늘날 고어텍스나 하이엔드 방수 소재들이 지향하는 목표와 유사합니다. 자연은 이미 수천 년 전 이런 해답을 모피라는 형태로 제공했던 셈입니다. 옛날 사람들은 모피.. 2025. 4. 30.
지속가능성 시대, 염색업계의 새로운 생존 전략 변화하는 소비 트렌드와 산업의 딜레마위기의 순간, 산업은 어떻게 살아남았나염색업계가 배워야 할 반전 전략친환경 기술로 거듭나는 염색 산업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선택 변화하는 소비 트렌드와 산업의 딜레마 최근 전 세계적으로 친환경 바람이 거세게 불고 있습니다. 이제 소비자들은 단순히 가격이나 디자인만 보는 것이 아니라, 제품이 얼마나 환경을 고려해 생산됐는지를 따져보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플라스틱 빨대 금지, 전기차 전환 같은 변화는 이미 일상 속에 스며들었지요. 섬유업계, 특히 염색 산업 역시 이런 거대한 흐름 앞에서 중요한 갈림길에 서 있습니다. 오랜 기간 동안 섬유 염색은 아름다운 색을 만들어내는 기술의 정점으로 여겨졌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오염물질 배출과 수자원 낭비 문제로 비판받고 있습니다. 많.. 2025. 4. 29.
북극 정복을 가능하게 한 섬유의 과학 극한 환경 속 생명을 지킨 섬유의 힘생사를 가른 복장의 차이합성섬유가 바꾼 고산 등반의 판도소수성과 친수성, 그 결정적 차이오늘날에도 살아있는 섬유 기술의 교훈 극한 환경 속 생명을 지킨 섬유의 힘 1950년대 초, 에베레스트를 향한 인류의 도전은 상상 이상으로 험난했습니다. 당시 정상에 도달한 사람은 극소수였고, 대부분은 베이스캠프에도 미치지 못한 채 철수하거나 목숨을 잃었습니다. 그런데 어느 순간부터 등정 성공률이 눈에 띄게 높아졌습니다. 전문가들은 다양한 요인을 꼽지만, 그중에서도 옷과 장비의 발전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입을 모읍니다. 특히 섬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이 사람들의 목숨을 지키는 데 결정적이었지요. 그 시작은 1930년대 미국 화학자 월리스 캐로더스가 개발한 나일론으로 거슬러 올라갑.. 2025. 4. 28.